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시청자의 제보로 만든 뉴스입니다. <br> <br>이제 옛날 얘기가 된 백신 패스가 여전히 적용되는 곳이 있습니다. <br> <br>일부 경로당들이 3차 접종을 하지 않으면 출입을 금지하고 있는데요. <br> <br>어르신들을 보호한다는 취지이지만 기준도 제각각이라 혼란스럽습니다. <br> <br>이혜주 기자입니다.<br><br>[리포트]<br>코로나로 닫혔던 경로당이 지난 4월 문을 열었지만 어르신은 여전히 갈 수 없습니다. <br> <br>[80대 할머니 / 경기 안양시] <br>"집에 하루 종일 드러누워 있으니까 머리가 자꾸 돌아버리려고 그래." <br> <br>코로나 3차 백신을 맞지 않았다는 이유에서입니다. <br> <br>할머니는 2차 접종까지 마친 상태로 3월 말엔 코로나에도 걸렸습니다. <br> <br>3차 접종을 하려 해도 석달은 지나야 가능한데 이런 사정은 통하지 않았습니다. <br> <br>[80대 할머니 / 경기 안양시] <br>"(백신) 3차 안 맞으면 못 온대요. 집에 와서 생각해보니까 참 속상한 거예요. 아, 내가 이렇게 멸시를 받는구나." <br> <br>실제 경로당엔 3차 접종자만 이용할 수 있다는 안내문이 붙어있습니다. <br><br>보건복지부 조사 결과 경로당의 84.2%가 3차 이상 접종자만 이용할 수 있도록 제한을 두고 있습니다. <br><br>[김모 씨 / 80대 할머니 아들] <br>"정부에서는 사회적 거리두기도 없애고 방역 그런 것도 다 없앴는데…. 소외를 넘어서 차별이죠." <br> <br>동네마다 다른 것도 문제입니다. <br><br>서울 서초구는 접종 여부와 관계 없이 시설을 이용할 수 있지만 강남구는 3차 접종 완료자만 이용할 수 있습니다. <br><br>취재가 시작되자 '3차 미접종자 이용 불가'를 공지했던 안양시 경로당은 안내문을 뗐습니다. <br> <br>[정재훈 / 서울여대 사회복지학과 교수] <br>"경로당 자체가 어떻게 보면 유일한 소통의 공간이니까 가시는 거거든요. 그런데 접근을 막는 거니까 사회참여권에 대한 제한이다." <br> <br>국가인권위원회는 경로당의 방역패스 적용에 대한 조사에 착수했습니다. <br> <br>채널A뉴스 이혜주입니다. <br><br>영상취재 이준희 채희재 임채언 <br>영상편집 이은원<br /><br /><br />이혜주 기자 plz@donga.com